미국, 냉전 시대 핵폐기물 활용해 원전 연료 개발 추진

[email protected]



미국 정부가 냉전 시대에 제조된 고순도 플루토늄을 민간 기업이 원자력 발전용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기로 했다. 이 결정은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21일(현지 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근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원전 산업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이번 조치를 통해 플루토늄을 사용할 수 있는 기업들이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필요한 인허가를 더욱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으로, 인공지능(AI) 인프라 등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하여 원전 산업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미시간주와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향후 2년 내에 원자력 발전소의 재가동이 계획되어 있으며,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에는 수십억 달러의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그러나 여전히 원자력 연료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가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플루토늄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의 핵무기 반대 단체인 ‘우려하는 과학자들 연합(UCS)’의 에드윈 라이먼 핵발전안전국장은 “플루토늄이 도난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핵무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며 “정부가 필요한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준수할 것이라고 믿기 힘든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에 플루토늄 사용 신청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중에는 샘 올트먼 OpenAI CEO가 투자한 ‘오클로’와 프랑스의 ‘뉴클레오’가 포함되어 있다. 뉴클레오의 CEO 스테파노 부오노는 플루토늄을 “매우 기꺼이”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미국은 9만2000톤의 사용 후 핵연료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100년간 지속 가능한 에너지 독립이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법적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핵 폐기물에 대한 통제권이 연방 의회에 있다고 지적되는 만큼, 전직 대통령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루토늄 사용을 허가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있는지를 둘러싼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의 전개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