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과 중국 간의 무역 협의가 진행되면서, 중국 측은 네덜란드의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 문제 해결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EU의 마로시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지난 21일 기자회견에서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과의 화상 통화를 통해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조치에 대한 긴급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 당국자들을 벨기에 브뤼셀에 초청하였고, 왕 부장이 이를 수락했다고 밝혔다.
셰프초비치 위원은 “양자 관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신속한 해결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두 당사국 간의 원활한 소통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특히, 중국은 지난 9일에는 추가적인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단행했으며, 이는 지난 7월 금기적인 패스트트랙 조치와의 불일치가 주장되면서 EU 측의 불만을 자아냈다.
중국 상무부는 이번 통화에서 희토류 수출 통제 외에도 넥스페리아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하며, 왕 부장은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의 과도한 확대에 반대한다”며 EU 측이 이 문제에서 건설적인 역할을 발휘할 것을 요청했다. 넥스페리아는 중국 기업 윙테크의 네덜란드 자회사로, 네덜란드 정부는 최근 기술 유출 우려를 이유로 자산 및 지식재산권을 동결하고 경영권을 박탈하였다.
왕 부장은 희토류 수출 통제와 관련하여 “법에 따라 중국의 수출 통제 시스템을 보완하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세계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 위한 대국의 역할을 실현한 것이다”라고 설명하며, 세계 공급망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중국의 노력에 대해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셰프초비치 위원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이해하지만, 시행 과정에서 EU 기업의 신청을 빠르게 승인해 주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고 한다.
넥스페리아와 관련하여 왕 부장은 네덜란드 측의 요청으로 빈센트 카레만스 네덜란드 경제장관과도 통화하며 이 문제에 대해 고심했다. 왕 부장은 “조속한 문제 해결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네덜란드 측은 “중국과의 소통을 통해 건설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화상 회의는 중·EU 무역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건으로, 양국의 경제적 협력과 통상 관계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서로의 이해관계를 조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측의 협의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이번 회의의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