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는 22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자국의 소프트웨어 기술이 포함된 제품에 대한 중국 수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따른 것으로, 미·중 무역 갈등 우려가 다시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몇몇 주요 기업의 실적 부진도 투자자들에게 부담을 주며 증시 하락을 가속화했다.
특히 넷플릭스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저조한 실적 발표가 이날 거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34.33포인트(0.71%) 하락한 46,590.41로 마감했으며, S&P500지수는 35.95포인트(0.53%) 내린 6,699.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13.27포인트(0.93%) 떨어진 22,740.396에 거래가 종료됐다.
로이터 통신에 의하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제품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재 대상에는 노트북 및 제트기 엔진과 같은 주요 기술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조치가 실제로 시행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전해졌다.
미·중 정상회담이 다음 주 예정되어 있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진행 여부에 대해 불확실성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에 주목하며 장 마감 후 예정된 테슬라의 실적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테슬라는 3분기 매출 281억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0.5달러를 기록했으나, 전문가 예상치인 매출 263억7000만 달러와 조정 EPS 0.54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AI)의 발전에 힘입어 ‘매그니피센트7(M7)’이라고 불리는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시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M7 기업의 3분기 이익 증가율은 14.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S&P500 평균 이익 증가율(6.7%)의 두 배에 달한다.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은 현재 상황을 “가장 투기적인 종목들을 둘러싼 음악이 멈추고 파티가 끝난 것과 같다”며 향후 회복 가능성에 대해 불확실성을 표명했다. 한편, 대형 기술주의 실적이 예상보다 우수할 경우 주가 상승 기대감도 존재하며, BNY 웰스의 알리샤 레빈은 S&P500지수가 6800선을 넘으면 증시 상승의 확신을 가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자들은 또한 오는 24일 발표될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주목하고 있다. 시장은 지난달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8월의 2.9%보다 소폭 확대된 수치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 주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국제 금값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0.1% 상승한 온스당 4,113.34달러에 거래됐다. 국채 금리 역시 큰 변동 없이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가 3.95%, 2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3.44%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실적 발표에 따라 주가가 엇갈렸다. 넷플릭스는 예상치를 밑도는 3분기 실적을 발표한 후 10.07% 급락했으며, 텍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