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가 기업공개(IPO)를 위해 주관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국내외 증권사 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21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 프레젠테이션(PT)에는 총 11개의 증권사가 참여했으며, 주관사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발표가 이루어졌다. 업체들은 무신사의 데카콘 가치, 10조원에 걸맞은 기업 이력을 강조하며, 각자의 강점을 한껏 홍보하는 데 주력했다.
참여 증권사는 미래에셋, KB금융,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 하나증권 등 국내 업체 뿐만 아니라, 골드만삭스, 씨티은행, JP모건, 모건스탠리, UBS와 같은 해외 금융기관까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증권사들이 각자의 대표이사급 인사들까지 나서 발표를 진행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전해졌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발표는 무신사 측이 각 하우스의 평판, 즉각적인 트랙 레코드를 중시한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무신사는 단순한 패션 플랫폼을 넘어서 뷰티와 라이프스타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글로벌 스토어의 확장도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증권사들 간에 제시된 에퀴티 스토리가 유사하다는 의견도 존재하며, 이로 인해 주관사들의 차별성을 찾기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다.
특히, 무신사 측은 PT 과정에서 과거의 트랙 레코드와 관련된 질문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알려지며, 이는 향후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과의 소통 방식, 정정 공시 발생 시 대응책 등과 관련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대부분의 하우스들이 과거 IR에서 무신사가 언급한 내용을 에퀴티 스토리에 반영하여 발표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관사의 평판과 역대 트랙 레코드가 가장 중요하게 평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경쟁을 통해 무신사는 향후 어떤 주관사를 선택할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증권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무신사의 IPO 성공 여부는 앞으로의 시장 상황과 증권사 간의 경쟁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