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사리 리서치(Messari Research)는 최근 리저브(Reserve)가 출시한 디센트럴라이즈드 토큰 폴리오(Decentralized Token Folio, DTF)가 전통 금융의 상장지수펀드(ETF)와 유사한 기능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 기관급 투자 수단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리저브의 CF 라지 캡 DTF는 CF 벤치마크의 라지 캡 인덱스를 추적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의 95%에 해당하는 시가총액을 반영하는 포트폴리오를 온체인 상에서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구조는 투자자들이 개별 자산을 관리하지 않고도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준다.
리저브의 DTF는 RSR(Reserve Rights)의 보트 락킹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여 커뮤니티가 제안과 리밸런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구조는 슬래싱 리스크 없이 온체인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기초 자산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완전 담보화되며, 투자자는 DTF 토큰 1개당 상대적인 자산 청구권을 가지게 되어 직접 자산을 커스터디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뮤추얼 펀드 및 ETF에서 자주 발생하는 제3자 수탁 모델과 뚜렷한 차별성을 가지며, 법적 소유권에 대한 명확성을 높여준다.
유동성 측면에서도 DTF는 혁신적인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베이스(Base) 체인 위에서 유니버설(Universal)의 uToken 시스템을 활용하여 중앙화 거래소(CEX)의 유동성을 온체인으로 유도하고 있으며, 코인베이스 프라임에서의 1:1 자산 보관으로 신뢰성을 강화하였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DTF를 발행하거나 상환할 수 있어, 블록체인 기반의 온체인 환경에서 24시간 접근 가능한 ETF 유사 상품을 체험할 수 있다.
리밸런싱 프로세스 또한 기존 거버넌스 사이클보다 훨씬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분기별 리밸런스에 따라 재구성 공지, 가중치 발표, 온체인 제안, 투표 및 실행 딜레이, 더치 옥션을 통한 실행 등의 절차가 체계적으로 진행된다. CoW Swap의 주문 매칭 기능이 통합되어 최소 스프레드로 실행을 보장함으로써, 리밸런싱의 정확도를 높이고 마켓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거버넌스 구조는 두 가지 모델로 나뉜다. 일드 DTF는 스테이킹된 RSR을 퍼스트-로스 자본으로 활용하는 반면, 인덱스 DTF는 보트 락킹 토큰을 통해 투표권을 획득하고 파라미터 결정에 참여한다. 이같은 듀얼 모델 구조는 투자자들이 자신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참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현재 리저브는 CF 라지 캡 DTF 외에도 다양한 인덱스 포트폴리오를 운영 중이다. 예를 들어, OPEN 스테이블코인 인덱스는 주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를 추적하며, 블룸버그 갤럭시 크립토 인덱스를 반영한 DTF와 알파 베이스 인덱스(ABX)는 DAO 주도로 신흥 프로젝트를 큐레이션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적인 상품군은 투자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며 생태계의 확장성을 높이고 있다.
메사리 리서치는 리저브가 온체인 환경에서 전문적 실행, 투명한 접근성, 그리고 효율적인 유동성 조달 메커니즘을 결합하여 온체인 인덱스 상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는 기관 및 고액 투자자가 기존 금융 구조와 유사한 환경에서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광범위한 커뮤니티 거버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