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와의 연애가 연봉에 미치는 영향, 헤어지면 급감

[email protected]



상사와의 연애가 직원의 연봉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별과 이직의 경우에는 연봉이 대폭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전미경제연구소(NBER) 소속 연구진들은 핀란드에서 1988년부터 2018년까지의 고용 통계를 분석하여 이와 같은 현상을 규명했다.

연애 중에는 직원의 연봉이 평균 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핀란드의 직무급 중심 체계에서 상사가 부하 직원의 연봉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인 관계가 형성될 경우, 상사가 그에 따라 부하 직원의 연봉을 높여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과정은 성과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동료 직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쌓이고 이직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는 특히 중소기업에서 더 두드러진다고 경고했다.

상사와의 연애가 종료된 후에는 고용 유지율이 급격히 낮아진다. 연구에 따르면, 연애가 끝난 직원은 다른 직원에 비해 고용 유지율이 13%포인트 낮아지며, 이직을 시도할 경우 평균적으로 18%의 연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현상을 이별 후 충격을 받은 직원들이 조건이 좋지 않은 직장으로 이직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이 연구는 상사와의 연애가 단기적으로는 연봉을 올릴 수 있지만, 이별 후에는 장기적인 소득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연구진은 사내 연애를 금지하기보다는 상사가 자신의 연인인 부하 직원에 대한 지원 및 보상 결정을 내릴 수 없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들이 직원의 직무 환경을 개선하고, 사내 연애로 인한 갈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검토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애가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반면, 그에 따른 부정적 결과 또한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은 기업 운영 및 인사 관리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