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약 1억 7000만 달러(한화 약 2,473억원)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청산된 포지션 대다수가 숏 포지션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거래소인 바이낸스와 바이비트에서는 청산된 포지션의 83% 이상이 숏 포지션이었다.
특히, 지난 4시간 동안 바이낸스에서 가장 많은 청산이 발생하여 총 1404만 달러가 청산되었고, 이 중에서 1179만 달러는 숏 포지션으로 차지하는 비율이 약 83.95%에 달했다. 두 번째로 많은 청산이 발생한 바이비트에서는 681만 달러가 청산되었고, 이 중 613만 달러가 숏 포지션으로 집계되어 93.72%를 차지했다. 게이트와 OKX 거래소에서도 각각 542만 달러와 458만 달러의 청산이 이루어졌으며, 이들 거래소에서도 숏 포지션 비율이 각각 94.51% 및 84.32%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상승세를 띄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하락을 예상하고 베팅한 투자자들의 포지션이 대규모로 청산되면서, 시장의 상승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청산된 레버리지 포지션은 시장의 흐름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코인별 청산 현황을 살펴보면, 이더리움(ETH)과 비트코인(BTC) 관련 포지션이 가장 많이 청산되었으며, 각각 6963만 달러와 6735만 달러 상당의 포지션이 청산되었다. 솔라나(SOL)의 경우 약 1168만 달러, COAI와 BNB는 각각 791만 달러, 567만 달러의 청산이 발생했다. 이러한 청산 규모는 역사적 기준으로 보면 크지 않지만, 숏 포지션 위주의 청산이 두드러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암호화폐 역사에서 가장 큰 청산 사태는 2025년 10월 10일에 발생한 192억 달러 규모였으며, 그 뒤로 2021년 4월 18일의 99억 달러와 2021년 5월 19일의 90억 달러 청산 사건이 있었다. 이러한 통계들은 최근 시장의 상승 추세와 함께 하락을 예상한 투자자들의 손실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청산’은 레버리지 포지션을 유지하는 트레이더가 증거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때, 포지션이 강제로 종료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번에 발생한 숏 포지션 중심의 대규모 청산은 시장이 상승 추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강한 상승세 속에서, 하락을 예상했던 투자자들의 전략이 실패로 돌아가는 모습이 통계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