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 상위 2%, 연평균 21억 원 벌어… 배당소득이 이자소득의 두 배

[email protected]



최근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가운데 상위 2%에 해당하는 이들의 연평균 금융소득이 21억 원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6일 국민의힘 소속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6246명으로, 이는 지난해 19만1501명에 비해 75.6% 증가한 수치이다. 주식시장 호황과 고금리 기조가 이번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전체 금융소득 총액은 32조4929억 원으로, 개인당 평균 9700만 원으로 집계되었다. 이 가운데 이자소득은 10조7537억 원이며, 배당소득은 21조7392억 원으로 분류되었다. 배당소득이 이자소득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로 나타났고, 금융소득이 5억 원을 초과하는 신고자는 6882명으로 전체의 2%를 차지하였다. 이들은 총 14조2436억 원의 금융소득을 신고했으며, 이를 개인당 평균 20억7000만 원으로 환산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금융소득이 높을수록 배당소득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5억 원 초과 신고자의 배당소득은 12조3327억 원으로, 이자소득인 1조9108억 원의 6.5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이 자산가들은 전체 금융소득의 43.8%를 차지하고 있으며, 배당소득이 금융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6.6%로 나타나, 주식 배당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금융소득이 8000만 원 이하인 구간에서는 오히려 이자소득이 배당소득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0만 원~3000만 원, 3000만 원~4000만 원 구간에서는 각각 33.0%, 37.4%가 배당소득을 차지하는 수치로 나오면서, 전체적인 금융소득에서 이자소득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금융자산가일수록 예금 이자보다 주식으로부터 발생하는 배당소득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금융소득의 상승 추세와 함께 고수익을 추구하는 자산운용 방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 앞으로도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다양한 자산 운용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