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이제 단기 조정을 끝내고 강세장을 재개할 수 있다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주요 기술 지표들이 상승 전환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비트코인은 특정 저항선을 돌파해 사상 최고가 경신을 시도할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00일 이동평균선(약 1억 5,985만 원)과 200일 이동평균선(약 1억 5,131만 원) 사이에서 조정을 겪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하락 이후 1억 5,012만 원 선(약 108,000달러)에서 반등하며 상단 트렌드라인에 재접근한 점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이 구간을 안전하게 벗어나 종가 기준으로 안착할 경우, 1억 6,948만 원(약 122,000달러)에 이르는 유동성 지대를 다시 시험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4시간 봉 기준으로 대칭 삼각형 패턴이 형성되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큰 방향성 돌파를 앞둔 변동성 압축 신호로 해석된다. 현재 비트코인은 1억 4,244만 원에서 1억 4,526만 원(약 102,000~104,000달러)대의 수요 영역에서 반등한 후 다시 고점을 재도전하고 있다. 상단 저항선을 분명히 돌파하게 되면 시장 심리가 빠르게 개선되어 1억 6,948만 원(약 122,000달러)으로의 상승세가 더욱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온체인 데이터도 이와 같은 기술적 전망을 뒷받침한다. 최근 3~6개월 이상 비트코인을 보유한 중기 투자자의 평균 실현 가격 지표는 약 1억 5,131만 원(약 109,000달러)으로, 이는 과거 사이클에서 상승 전환 시 중요한 지지선 역할을 했던 구간이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이 실현 가격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라 투자자들의 수익률이 회복되면서 매도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 투자 심리는 여전히 보수적이지만, 가격이 확실히 1억 5,946만 원(약 114,000달러) 이상으로 돌파하고 유지된다면, 시장의 신뢰는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이 1억 5,946만 원(약 114,000달러)에서 1억 6,094만 원(약 116,000달러) 사이의 중장기 저항 구간을 돌파하며 상단 박스권을 탈출한다면, 1억 8,054만 원(약 126,000달러)에 달하는 사상 최고가 돌파 시나리오가 다시 머리 위로 떠오를 수 있다. 반면 이 구간을 뚫지 못할 경우, 다시 1억 5,012만 원(약 108,000달러)대의 지지선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변동성이 극도로 줄어든 현 시점은 향후 추세 전환의 중대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