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으로의 자금 이동이 두드러지며, USDE와 ENSO에서 USDT로의 유출이 확인됐다. 27일 기준으로 크립토미터의 집계에 따르면, 이날 미국 달러(USD) 기반 자금이 총 1억 6380만 달러 유입됐다. 이 중 주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으로 각각 7920만 달러와 6760만 달러가 집중됐다. 또한 일부 자금은 XRP, ZEC, TAO 등으로 분산됐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USDT에서는 총 3억 4750만 달러가 이동했으며, 그 중 1억 8610만 달러는 BTC, 8450만 달러는 USDC로, 나머지는 BNB, AAVE 등의 암호화폐로 분산됐다. FDUSD에서는 7450만 달러 상당이 잇달아 BTC(4140만 달러) 및 ETH(2960만 달러)으로 이동했다.
유로화(EUR) 기반 자금은 2950만 달러 규모로 분산되었고, 한국 원화(KRW) 기반 자금은 3780만 달러로 확인됐다. 이는 ETH에 1630만 달러, DOGE 및 SOL 각각 640만 달러, BTC에 600만 달러가 유입되었음을 의미한다. 일본 엔화(JPY) 자금 860만 달러는 전량 비트코인으로 유입되었고, 터키 리라(TRY) 자금 360만 달러는 BTC와 ETH로 나누어졌다.
이번 날 USDC에는 8450만 달러가 유입됐고, 부분적으로 SOL(2220만 달러), XRP(470만 달러), DOGE(310만 달러) 및 LINK(140만 달러) 등으로 재분배됐다. BTC와 ETH는 시장 내 유입 자금의 대부분을 흡수하며, SOL, DOGE, BNB, XRP 등으로 자금이 계속 이동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USDE에서 5350만 달러, ENSO에서는 3370만 달러가 각각 USDT로 유출되며 시장 내 자금 회수 움직임이 포착됐다. XRP에서도 2310만 달러가 빠져나갔고, 자금은 USDT(1350만 달러), 원화(870만 달러), FDUSD(87만 달러)로 분산됐다. TRX로부터 1340만 달러, WBETH에서 990만 달러가 유출되어 전액 ETH로 이동했고, ASTER에서는 820만 달러가 USDT로 이동했다.
이번 날 스테이블코인 USDT에는 총 2억 280만 달러의 자금이 결집했으며, 일부 자금 역시 원화(3920만 달러), 헤알화(730만 달러), 리라화(420만 달러), USDC(370만 달러)로 유출됐다. USDC에는 1040만 달러가 유입되어 일부는 유로화(120만 달러), 원화(91만 달러)로 전환됐다. 비트코인에는 1720만 달러가 안정적으로 안착했으며, 이더리움은 총 768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출되었고, 이 중 가장 큰 이동은 USDT(6430만 달러)로, 뒤이어 BTC(1050만 달러) 및 USDC(200만 달러)로 분산됐다.
이와 같은 자금 흐름은 암호화폐 시장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주요 투자처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암호화폐에서 매도 흐름이 관찰되고 있어 시장의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키워드: cryp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