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자녀 증여 방침 철회… 강남 주택 매각 결정

[email protected]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그간 논란이 되었던 자기 보유 주택의 자녀 증여 방침을 철회하고, 이를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원장은 27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국정감사에 출석하여 “집 한 채를 내놓도록 결정했으며, 자녀에게 증여하거나 양도하는 대신 일반 매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결정은 그가 이전에 다주택자를 비판해온 발언과의 모순으로 인해 발생한 ‘내로남불’ 논란과 관련이 깊다.

이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1일 국정감사에서 “헌법상 다주택 금지”와 “다주택 고위공직자 임용 배제”에 대한 자신의 과거 발언을 언급하며 사과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원장은 자녀에게 한 채를 양도하겠다고 발언하여 논란을 더욱 키웠고, 이후 해당 발언에 대해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지적을 받았다. 강 의원은 “증여세는 아버지가 내줄 것이냐”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 원장의 발언을 비판했다.

이에 이찬진 원장은 자녀에게의 증여를 포기하고, 주택을 매각하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 그는 국민이 주택 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발언이 매우 부적절했음을 인정하며 진심으로 사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필사적으로 매각을 통해 책임을 다하고자 하며, 본인의 입장을 단호히 선회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억원 금융위원장도 이날 자신의 ‘갭투자’ 논란과 관련하여 사과하며, “앞으로도 평생 1가구 1주택으로 살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해외 체류로 인해 발생한 문제를 해명하며, 안정을 되찾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국정감사에서는 그가 캄보디아 범죄 그룹의 수익금을 몰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선제적 계좌 정지’와 같은 제도 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과 같은 고위 공직자들의 주택 문제와 관련된 위기관리와 정책 방향은 향후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이 원장의 결정은 공직자로서의 책임감을 강조하며, 국민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