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북극서클총회에서는 한국의 북극 정책과 국제적 약속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됐다. 한국은 최근 ‘중앙 북극해 공해상 비규제 어업 방지 협정(CAOFA)’을 주도한 국가이며, 국제해저기구의 탐사 허가를 받는 20개국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한국은 북극권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이번 총회에서의 참석 규모와 관련해 아쉬움이 남았다.
특히, 한국은 북극항로 개척을 국정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태스크포스를 해양수산부가 여는 등 내부적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전체 참석 인원은 여전히 예년과 유사한 수준에 머물렀다. 외교부 극지협력대표가 참석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무부처인 해수부에서는 신규 임용된 사무관 1명만이 참석하여 이목을 끌지 못했다. 북극서클총회는 세계 70여개국에서 2000명이 넘는 참석자들이 모이는 중요한 국제 행사인 만큼, 많은 정부 인원들의 참석이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회를 놓친 점이 아쉽다.
이번 총회에서 중국과 일본은 각자의 전략을 강화하고 있었다. 중국은 G2 국가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기 위해 시진핑 국가주석의 ‘글로벌 거버넌스 이니셔티브(GGI)’를 강조하며 여론전을 펼쳤고, 일본은 귀족 외교를 통해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려 했다. 반면 한국은 심사숙고가 필요할 때이다. 이재명 정부가 북극항로 개척에 진정성을 갖고 있다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를 조속히 구축해야 할 시점이다.
북극 문제는 단순한 과학 연구를 넘어서 국제 정세와 연계된 과학 외교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빙하 녹음과 해수면 상승은 한국의 국익과 직결된 사안으로, 이에 대한 전 부처 차원의 유기적 대응이 필요하다. 단일 기관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국제 협력 및 신뢰 구축을 통해 경쟁을 넘어서는 미래 지향적 이니셔티브가 요구된다. 한국이 북극권 문제에서 국제 사회의 큰 신뢰를 얻고, 주도적으로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법이다.
결론적으로, 북극항로 개척은 한국의 외교 및 경제적 성장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사안이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다방면에서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한국은 더 많은 외교적 접촉을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를 높여야 하며, 이는 향후 더욱 복잡해질 북극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으로 이어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