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29일,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에서 전례 없는 자금 유출이 발생하여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다. 하루 동안 약 4억 7,100만 달러, 즉 6,471억 원의 투자금이 빠져나가며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급격히 약화되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데이터 분석업체 소소밸류(SoSoValue)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날 비트코인 ETF는 모두 큰 폭의 자금 이탈을 보였으며, 이는 전반적인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이더리움(ETH)의 현물 ETF도 마찬가지로 상황이 나아보이지 않으며, 이날 8,140만 달러(약 1,118억 원)가 유출되어 하락세에 동참하였다.
투자자들의 심리를 반영하는 ‘공포와 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또한 급격히 악화되어 이날 100점 만점 중 34점을 기록하며 ‘공포’ 구간으로 다시 진입했다. 하루 전날에는 51점을 기록하며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만큼, 변동성이 큰 시장의 상황은 더욱 부각되었다.
비트코인 가격 또한 이날 장중 최저 10만 8,201달러(약 1억 4,879만 원)까지 하락하며 반등 기대를 무너뜨린 상황이다. 최종적으로 이날 종가는 10만 8,864달러(약 1억 4,991만 원)로 마감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매도세 속에서도 블랙록(BlackRock)이 운용하는 이더리움 ETF ‘ETHA’는 오히려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이 ETF는 이날 2,170만 달러(약 298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하여 시장의 평균 수준과는 달리 독립적인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같은 회사에서 운영하는 비트코인 ETF ‘IBIT’는 8,800만 달러(약 1,209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가는 부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현재 ETF의 순자산 규모를 보면, 여전히 IBIT는 890억 달러(약 122조 원) 이상의 규모로 ETHA의 158억 달러(약 21조 7,000억 원)를 크게 초과하고 있지만, 이번 자금 유출은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약화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의 지나친 낙관론이 꺾여 투자자들이 수익 실현에 나섰던 것이 이번 자금 유출의 배경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가격이 여전히 10만 달러(약 1억 3,800만 원) 이상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점은 향후 반등의 가능성을 점칠 만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ETF 자금 유출은 단기적인 투자 심리 위축을 나타내지만,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는 비트코인의 흐름은 장기적인 수요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기관 투자자들의 향후 행보는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