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미중 무역 협상이 완료되었으며, 다음 주에 양측이 서명을 교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30일 방송된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베선트 장관은 “지난 25일부터 26일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된 미중 고위급 무역 회담의 결과가 어젯밤 마무리됐다”고 언급하며, “빠르면 다음 주에 서명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고위급 회담에서 미국은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는 중국 기업의 자회사를 통한 민감 기술 확보 방지를 위한 조치를 1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도 희토류와 관련된 수출 통제를 포함하여 설비 및 기술에 관한 강화된 수출 통제 조치를 1년 동안 유예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러한 결정은 양국의 무역 긴장을 완화시키고, 경제 관계를 회복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베선트 장관은 중국이 오는 1월까지 미국산 대두 1200만 톤을 수입하기로 합의했으며, 이후 3년 동안 매년 2500만 톤씩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농산물의 중국에 대한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에 관한 논의도 중요한 진전을 보였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 정부의 승인을 전제로 틱톡 매각 협정이 마무리되었다고 발표하며, “기대할 수 있는 시간 내에 매각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틱톡이 미국에서의 사업 운영에 있어 더욱 커다란 정치적 및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해석된다.
베선트 장관의 이번 발언은 미중 간의 긴장 완화 및 경제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있어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무역 협상이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서명이 이루어질 경우, 양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또한 글로벌 경제 환경과 무역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이정윤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는 미국과 중국 간의 긴밀한 경제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양측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 모두 이러한 합의들이 조속히 실현되길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두 나라의 무역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