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 정부 셧다운 상황 속 암호화폐 법안 처리 속도 낸다

[email protected]



미국 정부의 셧다운 상황이 지속되면서 상원의 공화당 의원들이 올해 안에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은 토큰화된 실물자산(RWA) 시장이 2028년까지 약 2조 달러(약 2,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러한 법안 처리의 필요성은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경계를 허물고, 디지털 자산 시장의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상원 농업위원회 위원장 존 부즈먼을 포함한 주요 공화당 의원들은 정부 셧다운에도 불구하고 양당 협력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 구조에 대한 초당적 법안을 ‘매우 조만간’ 공개할 계획이다. 부즈먼 위원장은 이 법안이 2026년 이전에 통과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상원 은행위원회와의 논의를 통해 합의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법안은 하원이 지난 7월 통과시킨 ‘CLARITY 법안’을 기반으로 하며, 상원에서는 이를 ‘책임 있는 금융 혁신법’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와이오밍주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는 이 법안을 지지하고 있으며, 9월 농업위원회와 10월 은행위원회에서의 검토를 희망하는 입장을 표시한 바 있다. 이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2026년 내 이 법안에 서명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지만, 최근 상황을 감안할 때 일정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스탠다드차타드는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탈중앙화 금융(DeFi) 시스템의 확산에 힘입어, 토큰화된 실물자산 시장이 2028년까지 2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현재 추 estimate되는 약 350억 달러(약 35조 원)에서 57배 이상의 증가를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금의 흐름은 머니마켓펀드 7,500억 달러, 미국 주식 토큰 7,500억 달러, 미국 펀드 2,500억 달러, 비유동 자산군(부동산, 원자재, 회사채 등) 2,500억 달러로 세분화될 전망이다.

제프 켄드릭 스탠다드차타드 디지털자산 리서치 책임자는 “RWA 시장은 향후 몇 년간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라며, “스테이블코인 유동성과 DeFi 은행 시스템의 발전이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정치권의 입법 노력과 금융 기관들의 성장 전망은 암호화폐 산업과 전통 금융의 통합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산업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만큼, 향후 법안의 진행이 업계 전반에 중대한 변곡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의 정부 셧다운 사태가 어떻게 진행되든, 암호화폐 시장 구조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는 것은 필수적이며, 글로벌 금융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