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중앙은행(ECB)은 30일(현지시간) 예금금리를 2.00%로 유지하며 기준금리(2.15%)와 한계대출금리(2.40%) 역시 동일한 수준에서 동결했다. ECB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개최된 통화정책회의에서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
ECB는 최근 인플레이션이 중기 목표인 2%에 근접하고 있으며, 정책위원회의 인플레이션 전망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더불어, 어려운 글로벌 환경 속에서도 경제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블룸버그 등의 조사에서 시장 전문가들의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유로존의 통화정책 기준인 예금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2.50%)와 0.50%포인트 차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3.75~4.00%로 조정한 이후로 유로존과 미국 간의 금리 차이는 1.75~2.00%포인트로 축소되었다. ECB는 작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acht 차례에 걸쳐 정책금리를 2.00%포인트 인하한 뒤 이후 세 차례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였고, 이는 세계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높였다.
올해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떨어진 후 현재 2%를 약간 상회하고 있으며, 지난달은 2.2%를 기록했다. ECB는 올해 물가 상승률을 2.1%, 내년은 1.7%로 전망하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미·EU 무역협정, 중동 휴전 발표, 그리고 미·중 무역 협상 진전을 언급하며 이들 요소가 경기 하방 리스크를 일부 완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글로벌 무역정책 환경이 불안정하다고 경고하며, 유로화 강세가 인플레이션을 예상보다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발표된 유로존 3분기 경제 성장률이 0.2%로 예상치를 초과함에 따라 ECB가 가까운 시일 내에 금리를 조정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데이비드 파월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ECB가 유로존 경제의 회복력에서 위안을 얻고 있으며 금리 인하를 주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내년에는 미국의 관세 인상이 유로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하게 나타날 경우 ECB의 현재 정책 스탠스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리 인하 사이클이 종료됐는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유로화 강세, 무역 불확실성, 프랑스의 재정 적자 감축 필요성과 같은 요소들이 인플레이션 하방 리스크를 더욱 부각시킬 것이라고 전망하며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전문가들은 식품 가격 등의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오를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의 전문가 설문 결과, 응답자의 17%는 내년 연말까지 최소 한 차례의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