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단기 흐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유명 투자자이자 트레이더인 피터 브란트가 최근 자신의 비트코인 포지션을 숏(Short)으로 전환했다고 발표했다. 브란트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현재 비트코인이 ‘메가폰(Megaphone)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단기적인 하락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메가폰 패턴은 가격의 고점과 저점이 점점 벌어지는 비정형 삼각형 구조로, 이는 시장의 혼란과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브란트는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만, 현재 스윙 트레이더의 관점에서 비트코인 선물을 숏 포지션으로 전환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적 투기와 장기적 보유 간의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는 서로 다른 시스템과 시간대에 따라 거래 계정마다 상반된 포지션을 가져야 할 때의 정신적 고충을 털어놓으며, 시장의 복잡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러한 발언은 일반 투자자들에게 현재 시장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확인시켜주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브란트는 지난 8월에도 비트코인이 이번 사이클에서 고점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약 30%라고 언급하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한 바 있다. 그러나 그는 중장기적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하며, 2026년 11월에는 비트코인이 최대 50만 달러(약 6억 5,000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브란트의 숏 포지션 전환은 비트코인이 10월 6일 역대 최고가인 12만 6,080달러(약 1억 6,402만 원)를 기록한 이후 나타난 첫 음봉 신호와도 관련이 있다. 최근 비트코인은 하루 만에 10만 6,464달러(약 1억 3,846만 원)까지 급락했다가 다시 11만 달러(약 1억 4,300만 원) 선을 회복하는 등 강한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브란트의 의견은 단기 트레이딩 전략과 기술적 분석에 기반한 것이므로, 이를 일반 투자자들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시장의 전체 맥락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번 발언은 현재 시장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비트코인 시장이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투자자들은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