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 기금이 최초로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입함으로써 역사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국민연금공단이 발표한 ‘2025년 6월 말 기준 기금운용 현황’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총 적립금은 1269조 원에 이르며, 이 중 약 635조 원(50.1%)이 주식(국내 및 해외)에 투자되었다. 이는 채권 비중이 감소하고 주식 비중이 크게 확대된 결과로, 국민연금의 투자가격과 전략에서의 중대한 변화임을 의미한다.
과거 10년과 비교했을 때,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에서 채권의 점유율은 2015년 말 56.6%로 절반을 차지했지만, 현재는 33.0%로 줄어들었다. 반면, 주식 비중은 32.2%에서 50.1%로 증가했다. 이는 국민연금이 안정성을 중시하기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노후 자금 고갈 우려 속에서, 운용 수익률을 단 1%포인트만 높여도 기금 고갈을 수년 늦출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라, 국민연금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위험을 감수한 것으로 파악된다.
주식 투자에서도 국내보다는 해외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전체 주식 투자 비중 중에서 국내 주식은 14.9%(189조 원)에 불과한 반면, 해외 주식은 35.2%(446조 원)를 차지한다. 이는 글로벌 시장으로의 투자 분산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국내 자산에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한국 경제의 변동성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국민연금의 투자 방향의 변화가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자산 규모가 1200조 원이 넘는 ‘슈퍼 고래’로서, 이들의 투자 방향이 글로벌 주식시장, 특히 뉴욕과 런던 등 주요 증시에 자금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주식 비중 50% 돌파는 단지 기금 운용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 노후와 한국 경제, 글로벌 시장에까지 깊은 변화를 가져오는 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변화는 국민연금이 더 이상 안정성과 보수적인 운용에 국한되지 않고, 적극적인 수익 추구로 나아가겠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이는 국내외 금융시장 참가자들에게도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행보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으며, 이들이 짜는 새로운 투자 정략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