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크셔 해서웨이, 워런 버핏의 지도 아래, 4분기에도 사상 최대 수준의 현금을 보유하며 ‘신중한 투자’ 모드에 들어갔다. 올해 주요 주가 조정에도 불구하고, 올해 단 한 건의 자사주 매입도 하지 않았고, 오히려 보수적인 매도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정은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고평가 우려와 버핏 회장의 은퇴로 이어지는 심리적 변화로 인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3분기 동안 134억8500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수치다. 이 같은 성장은 보험, 철도, 에너지 및 제조업 등 핵심 자회사의 실적이 크게 기여한 결과다. 특히 보험 인수 부문에서 이익이 200% 이상 급증하여 23억7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이 주효했다.
올해 3분기에는 자연재해의 발생이 줄어들면서 보험 손실이 감소했고, 주력 보험·재보험 부문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그러나 자동차 보험 자회사인 가이코는 사고 건수 증가로 인해 세전 인수이익이 13% 줄어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신규 고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가 조정에도 불구하고 버핏 회장은 자사주 매입을 단행하지 않았다. 현재 버크셔는 9개월 동안 자사주 매입을 단 한 번도 실시하지 않았으며, A·B클래스 주가는 각각 5% 상승했으나, S&P500 지수는 16.3% 상승하며 주가 조정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버크셔의 현금 보유액은 사상 최대인 3816억 달러로 증가했고, 이는 올해 1분기 기록한 3477억 달러를 초과한 수치다.
추가적으로, 버크셔는 3분기 동안 매도 활동을 통해 104억 달러의 과세 대상 이익을 기록했다. 이러한 보수적인 투자 전략은 버핏 회장이 현금 배당 대신 자사주 매입 후 소각으로 주주 환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버핏 회장이 자사주 매입 중단을 결정하면서 ‘버핏 프리미엄’이 약화되었다는 분석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버핏 프리미엄’은 버핏의 투자 안목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주식이 내재가치를 초과하더라도 매수되고자 하는 심리적 프리미엄을 나타낸다. 그가 주가가 저평가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후임 체제에 대한 불안감이 주가 조정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버핏 회장은 2018년 주주 서한에서 버크셔의 주가가 내재가치 이하일 때나 자사주 매입 후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만 자사주 매입을 진행할 것이라는 원칙을 세운 바 있다.
한편, 버핏 회장의 95세 생일을 맞이한 그는 올해 말 CEO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후임으로는 비보험 부문을 총괄해온 그렉 에이블이 내정되었다. 에이블은 2026년부터 연례 주주서한 작성도 맡게 된다. 최근 버크셔는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석유화학 자회사인 옥시켐을 97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며, 이는 2022년 보험사 알레게니를 인수한 이후 최대 규모의 거래로 주목받고 있다.
결국, 버크셔 해서웨이의 총순이익은 상장 주식 평가 이익 포함하여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308억 달러에 달했다. 이러한 성과 속에서도 신중한 투자 전략과 잇따른 자사주 매입 중단은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