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펑 자오, 키르기스스탄 민간은행 설립 주장에 반박 “제안한 적 없어”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업계의 주요 인물인 창펑 자오가 키르기스스탄에서 민간은행을 설립하겠다는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바이낸스의 공동 창립자로서, 키르기스스탄의 디지털 통화 환경에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으나, 민간은행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은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키르기스스탄의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은 최근 현지 언론 카바르와의 인터뷰에서 자오가 지난 5월 국가를 방문했으며 이 과정에서 민간은행 설립을 제안했다고 주장했다. 자파로프 대통령은 원래 국영은행 설립을 선호했지만, 자오의 제안으로 민간은행인 ‘베레켓은행(Bereket Bank)’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주장에 따라 자오가 키르기스스탄의 은행 설립 과정에 직접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이 퍼졌다.

그러나 자오는 3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이건 사실이 아니다. ‘FUD(Fear, Uncertainty, Doubt)’ 레벨은 아니지만 잘못된 정보”라고 명확히 했다. 그는 “은행 설립을 제안한 적도 없고, 은행을 운영할 생각조차 없다”고 못 박았다. 이어 “해당 은행의 이름도 알지 못하며, 내가 제안한 바 없다”라고 덧붙이며, 자신이 지지하는 것은 단순히 ‘암호화폐를 지원하는 디지털 은행이 많아지길 바란다’는 일반적인 주장뿐이라고 설명했다.

자오가 키르기스스탄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온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이번 논란의 확산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는 지난 1년간 키르기스스탄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에 자문을 제공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접근 확대를 위해 논의해온 경험이 있다. 그러나 그가 은행 설립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음을 강조한 것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의혹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번 사건은 글로벌 암호화폐 업계에서 해당 분야 관계자와 각국 정부 간의 접촉이 증가함에 따라 정책 개입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발생했다. 자오가 바이낸스에서 물러난 후에도 여전히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많은 이목이 그에게 쏠리는 중이다. 이러한 일들은 암호화폐가 국가 단위에서 어떻게 제도화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여겨질 수 있다. 창펑 자오의 명확한 반박이 이후 더 많은 국가와 기업들 간의 올바른 소통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