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인링크(LINK)가 최근 급격한 가격 조정을 겪으면서, 시장에서는 ‘공급 쇼크’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한 달간 중앙화 거래소에서 1,500만 개의 LINK 토큰이 유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체인링크의 중앙화 거래소 보유량이 최근 30일 동안 1억 8,000만 개에서 1억 4,600만 개로 감소하여 약 3,400만 개의 LINK가 거래소 밖으로 이동했다. 이는 전체 유통량 중 거래소 내 비중이 연초 18%에서 현재 15%로 줄어든 것을 의미하며, 시장 공급이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체인링크의 거래소 유출 현상은 일반적으로 ‘매도 압력’이 완화되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거래소에서 토큰이 빠져나가면 단기적으로 매도 물량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이 자산을 개인 지갑에 보관하거나 스테이킹하는 경우, 이는 장기 보유 의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역사적으로도 거래소로 다시 토큰이 유입될 때는 주로 가격이 지역 고점에 도달했을 때 발생해온 경향이 있다.
한편, 체인링크는 최근 한 달간 약 30% 하락했으며, 지난 24시간 동안에도 8% 추가 하락하면서 단기적으로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현 상황에서도 중장기적으로는 매집 구간이 형성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LINK 가격이 단기적으로 15달러(약 2만 원) 수준까지 떨어질 경우, 이는 “골든 바이존”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 가격대는 과거에 고래 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매수에 나선 구간으로 여겨진다. 그는 해당 지지선에서 반등할 경우 장기적으로는 100달러(약 13만 원)를 넘는 상승세가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알프랙탈(Alphractal)의 창립자 주앙 웨드슨(Joao Wedson)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LINK의 최근 하락세를 ‘현지 조정’으로 보면서, 이것이 강한 반등의 전조라고 주장했다. 특히 매도/매수 델타가 오랫동안 음의 영역에 머물고 있는 것은 ‘강한 손’이 매수세를 통해 공급을 흡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체인링크는 지금까지 체인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오라클 네트워크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최근에는 스테이킹 기능이 확대되고, 네트워크 유틸리티가 점차 강화되고 있어 당장의 가격 변동성과는 별개로 중장기적인 수급 구조 개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투자자들이 이와 같은 가능성을 주목하면서, 체인링크의 향후 상승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