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3C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 디지털 신원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다”

[email protected]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신원 관리 체계가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W3C(웹컨소시엄)의 검증가능 자격증명 워킹그룹(VCWG)은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VC)을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의 중심 기술로 규명했다. 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블록체인 진흥주간 X 웹 3.0 컨퍼런스’에서 브렌트 쥔델 W3C VCWG 의장은 “미래의 디지털 생태계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통제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VC 구조가 표준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쥔델 의장은 VC가 디지털 신원과 데이터 신뢰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개방형 표준과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신뢰 체계가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VCWG는 최근 ‘Verify with Credentials 데이터 모델 2.0 버전’을 포함한 여러 관련 표준을 공식화했다며, VC 기술이 10년 간의 개발 끝에 성숙하게 되었고 전 세계에서 채택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VC의 정보 공유는 발급자, 보유자, 검증자의 3자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격증명은 발급 정보, 상태 정보, 발급자 속성 및 데이터 주체의 클레임 등 여러 요소로 구성되며, 이 모든 요소를 하나로 묶어주는 ‘서명’이 존재한다. 보유자는 다양한 발급자로부터 자격증명을 받아 자신의 디지털 월렛에 저장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어, 필요한 상대에게 자격증명을 제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모든 증명과 자격증명은 발급자와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신뢰 체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쥔델 의장은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고, 발급자가 이를 디지털 서명하여 신뢰를 보장하며, 검증자는 자격증명이 디지털 서명된 덕분에 발급자가 진짜 정보의 출처라는 사실을 신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신원과 개인정보 보호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VC는 JSON과 완전히 호환되는 JSON-LD 형태로 다양한 데이터 이니셔티브와 쉽게 연동될 수 있으며, 자격증명의 메타데이터에는 어휘와 서명된 문맥이 포함되어 있어 기계가 데이터를 자동으로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쥔델 의장은 유럽연합의 디지털 신원 월렛과 싱가포르의 Trust Easy와 같은 사례를 언급하며,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이 데이터 보호와 출처를 보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디지털 신원 인프라의 핵심 요소로 성장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양자 이후 서명 알고리즘이 표준화되면 VC는 이점을 자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할 것”이라며, VC가 미래의 암호 보안 환경에도 대응 가능한 혁신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2025 블록체인 진흥주간 X 웹 3.0 컨퍼런스’는 블록체인과 웹3의 융합된 디지털 신뢰사회의 미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개최된 행사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관련 기관들이 함께 공동 주관하였다. 최첨단 기술인 블록체인이 ‘신뢰 기반 디지털 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통 금융기관, 블록체인 기업 그리고 학계가 함께 전략을 논의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