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블록체인 진흥주간 및 웹 3.0 컨퍼런스 개최… “디지털 신뢰를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email protected]



2025 블록체인 진흥주간과 웹 3.0 컨퍼런스가 11월 4일부터 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기술과 웹 3.0의 융합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신뢰 사회’의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동으로 주관하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인공지능(AI), 분산신원인증(DID), 영지식증명(ZKP) 등 차세대 디지털 신뢰 기술이 핵심 주제로 다루어졌다. 유재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개회사에서 “AI와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이 혁신적인 가치를 담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이 디지털 결제 혁명을 이끌고 있으며, 국경을 넘어 신속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가치를 이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차관은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이 AI의 발전과 결합할 때, 우리가 기대하는 진정한 AI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은 단순한 기술 결합을 넘어서는 새로운 혁신 생태계를 창출할 것”이라며, 블록체인이 글로벌 디지털 경제를 재편하는 중요한 요소로 재조명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미국, 유럽,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 제도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정부의 국정과제에 블록체인 기술 발전 방안이 포함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신성범 국회의원은 스테이블코인이 블록체인 기술과 실물 경제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블록체인이 금융 및 다양한 산업의 혁신을 선도할 핵심 기술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행사가 대한민국 블록체인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했다.

행사 이틀 동안은 블록체인과 웹 3.0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세션이 진행되었다. 첫날 오전에는 ‘디지털 지갑 표준화’와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에 대한 주제가 다루어져, 오후에는 ‘생활 속 블록체인’과 ‘웹 3.0과 인공지능’에 대한 세션이 이어졌다. 이틀째에는 한국블록체인학회, DID기술표준화포럼, 한국전자거래학회 등의 참여로 최신 연구 성과와 산업 동향이 공유되었다.

컨퍼런스 현장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공공 데이터 투명성, 탈중앙금융(DeFi), 메타버스 결제 인프라 등 다양한 전시가 열렸으며, 참석자들은 법률상담, 정부 지원 사업 성과 발표 등의 실무형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번 컨퍼런스는 블록체인과 웹 3.0이 디지털 신뢰 사회를 구현하는 핵심으로 자리잡도록 도우며, 국가 전략 및 산업 생태계의 방향을 재정립하는 중요한 기회로 평가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흐름 속에서 블록체인은 글로벌 경제 구조를 재편하는 필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태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