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급락하면서 10만 달러(약 1억 원) 붕괴가 눈앞에 닥쳤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을 본격적인 ‘약세장(bear market)’의 시작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우려가 커지고 있다.
4일(현지시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10만 1,000달러(약 1억 1만 원)까지 하락하며, 지난 1주일 동안에만 1만 5,000달러(약 1,500만 원) 이상 떨어졌다. 이번 하락은 6월 이후 처음으로 10만 달러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을 시사하며, 대규모 매도 압력이 시장을 압도하고 있다.
기업 차원에서도 비트코인 보유량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세콴스 커뮤니케이션(Sequans Communications)은 보유하고 있던 BTC 970개를 매도하며 1억 8,900만 달러(약 1,89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중 절반을 상환했다고 밝혔고, 이로 인해 기업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기존 3,234개에서 2,264개로 줄어들었다.
크립토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에 따르면, 고래 투자자들도 많이 매도하고 있다. 그는 최근 트위터에서 고래들이 총 2억 7,200만 달러(약 2,720억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매도했다고 공개했다. 이러한 상황은 최근 일주일 동안 시장 전반에 하락 압력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비트코인의 과거 가격 움직임을 보면, 지난주 11만 6,000달러(약 1억 1,600만 원)에서 저항을 받기 시작한 후 가격이 급락했다. 이달 초에도 특별한 반등 없이 11만 1,000달러(약 1억 1,100만 원)에서 다시 둔화되고, 여기에 불과 며칠 사이에 1만 달러(약 1,000만 원)가 넘게 하락하며 상승 기대가 꺾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달 초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으나 한 달 만에 약 20% 하락하며 시장 분석 매체인 코비시 레터(The Kobeissi Letter)는 공식적으로 ‘약세장 진입’으로 판단했다. 해당 매체는 SNS를 통해 “비트코인은 역대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며 약세장 국면에 들어섰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알트코인 시장도 비슷하거나 더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스토리(IP), 앱토스(APT), 카스파(KAS), 오케이비(OKB), 톤(TON) 등 여러 알트코인이 두 자릿수 하락률을 보이며 타격을 입었고,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은 7%, 솔라나(SOL)은 8.5%, 리플(XRP)은 6%, 바이낸스코인(BNB)은 8% 각각 하락했다.
현재 급격한 하락과 투자 심리 악화로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며, 바닥이 어디인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하락장이 다가오는 상승 효과를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더 큰 하방 압력이 우세하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