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리처드 텡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일가가 관여한 스테이블코인 ‘USD1’ 선정 과정에 대해 개입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USD1은 약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거래에 사용될 예정으로, 현재 논란이 일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투자사 MGX가 바이낸스에 전략적 투자를 결정하면서 USD1을 사용하기로 한 것은 MGX 측의 단독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텡 CEO는 “이 거래에 USD1의 사용은 MGX의 판단이었으며, 바이낸스는 그와 관련해 어떠한 개입도 하지 않았다”고 분명히 밝혔다.
이러한 해명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0월 23일, 전 바이낸스 CEO이자 현재 자금세탁 방지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챙펑 자오(CZ)를 사면하면서 불거진 일련의 논란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인터뷰에서 “자오를 개인적으로는 전혀 모른다”는 입장을 보였으며, 바이든 행정부의 기소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논란의 핵심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인 에릭 트럼프가 공동 설립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1이 있다. 에릭 트럼프는 MGX의 바이낸스 투자금이 USD1로 결제된다고 언급하며, 트럼프 일가가 직접적으로 수익을 얻게 되는 구조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이로 인해 정치적인 사면, 거래소 투자, 그리고 특정 스테이블코인의 사용 여부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 ‘이권 개입’과 ‘대가성 정치’ 등 고위층 부패 의혹을 야기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시장 신뢰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업계에서는 이번 스테이블코인 사용 사례가 고위 공직자의 개인적인 이익과 공적 기구의 결정이 맞물리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최근 1억 1,600만 달러에 달하는 밸런서(Balancer) 해킹 사건이 발생했다. 해커는 수개월간 치밀하게 준비한 정황이 드러났으며, 분석 결과 이 사건은 고도로 정교하게 벌어진 작전으로 나타났다. 해당 거래소는 탈중앙화 거래소(DEX)이자 자동화 시장 메이커(AMM) 프로토콜로, 해킹 피해가 대규모로 발생했다.
코인베이스의 디렉터 코너 그로건은 해커가 익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량씩 자금을 이동시키며, 감사 문제를 피하는 정교한 방식을 사용했음을 강조했다. 디렉터는 해킹된 자금이 오랜 기간 동안 숨겨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고도의 공격 기법과 긴 잠복 기간, 기존 해킹 사례와의 연계 가능성을 함께 고려할 때, 업계 전반에서 보안 시스템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자산 보호를 위한 DEX 생태계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