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미국 국채 수익률에 미치지 못하는 현실…시장은 회복력을 시험받다

[email protected]



올해 암호화폐 시장에서 강세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비트코인(BTC)의 성과가 미국 국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2025년이 시작된 이후 비트코인의 누적 상승률은 겨우 8%에 불과하며, 이는 ‘무위험 자산’으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 수익률보다 낮은 수치이다. 미국 국채는 금융 시장에서 가장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며, 전체 금융자산의 기준점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핵심 위험 자산인 비트코인이 국채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은 시장 심리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비트코인은 올해 초 한때 미국 국채 수익률을 초과하기도 했으나, 최근 예상치 못한 가격 급락으로 이 시기를 지나며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하였다. 특히, 비트코인은 최근 10만 달러(약 1억 원) 밑으로 떨어지면서 심리적으로 중요한 지지선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단기적인 가격 하락은 대규모 자금 유출과 함께 나타났으며, 11월 4일 하루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총 578달러(약 77만 원)의 자금이 이탈했다.

현재까지 발행된 비트코인 현물 ETF의 평균 매입 단가는 8만 9,600달러(약 8,960만 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가격 하락은 투자자들에게 평가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맷 하우건은 현재 소매 투자자들 사이에서 지나치게 비관적인 상황, 즉 ‘최고조의 절망(max desperation)’ 상태가 관찰된다고 진단하였다. 하지만 그는 이번 조정을 새로운 ‘암호화폐 겨울’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비트코인 투자 심리는 악화되었지만, 이로 인해 구조적인 시장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이 미국 국채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은 시장 전반의 회복력을 시험하는 동시에, 암호화폐가 메인스트림 투자 자산으로 자리잡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앞으로 비트코인이 핵심 지지선을 잘 방어하고, ETF 자금 흐름이 개선되는지가 단기적인 시장 추세에 중요한 분기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