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가상화폐 시장 최악의 상황 직면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지지선을 붕괴하며 지난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가상화폐 시장이 충격에 휘말리고 있다. 6월 이후 처음으로 일주일 동안 10% 이상의 급락을 보인 이번 사건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셧다운 장기화와 유동성 우려가 가상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새로운 우려의 시작은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급락으로, 이른바 ‘팰런티어 쇼크’로 인한 뉴욕 증시의 폭락이 그 출발점이었다. 5일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5%대 하락을 기록함에 따라 아시아 증시와 가상화폐 시장에서도 ‘위험자산 동반 투매’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비트코인은 5일 오후 3시경 코인마켓캡에서 10만1770 달러에 거래되고 있었으나, 이틀 전 10만 달러 선이 붕괴된 이후 소폭 반등에 불과하다.

비트코인은 단 1개월 사이에 사상 최고가인 12만6000 달러에서 20% 이상 하락하며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다. 특히 10월 10일의 최대 청산 이벤트에서 가격이 10만3000 달러 이하로 떨어지면서 단기 반등이 완전히 꺾였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주요 알트코인들의 하락 폭도 더욱 두드러졌다. 이더리움(ETH)은 3268 달러로 떨어져, 일주일 새 18% 이상 하락하며 솔라나(-20%), XRP(-16%), BNB(-16%) 등이 두 자릿수 하락률을 보였다.

시장 투자 심리는 극도로 위축되었으며, 얼터너티브의 ‘공포 및 탐욕 지수’는 20을 기록해 ‘극단적 공포’ 단계로 떨어졌다. 일주일 전만 해도 ‘탐욕’ 단계에 머물렀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가상화폐 시장에서의 패닉셀 현상이 더욱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상화폐 시장의 급락은 전세계 증시의 폭락과 함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매크로 경제 상의 악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금리 인하 기대를 차단하는 발언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였고, 셧다운의 장기화로 인해 고용지표 및 주요 경제 데이터 발표가 지연되면서 정책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더불어 가상화폐 시장 내부의 수급 상황도 나쁜 상태에 있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대규모 청산 이후로 현물 수요가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지지선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1~2개월 내에 7만2000 달러까지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상장지수펀드(ETF)의 매수세가 소멸하고 장기 보유자들이 매도에 나서는 상황에서, 4년 주기의 약세장 진입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향후 가상화폐 시장은 증시와의 높은 동조화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써 가상화폐 시장의 불확실성과 투자자들의 공포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