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AI 산업 발달을 통해 국내 전력 수요 상승을 예측하면서도 에너지 소비 총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정부의 산업 육성과 에너지 정책 사이의 어긋남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제7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을 의결하며, 2024년까지 2억1200만toe의 에너지 소비량을 2029년까지 2억1100만toe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이 계획이 탈탄소 녹색문명으로의 대전환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AI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의 증설로 인해 앞으로 산업용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이 1.08기가와트(GW)였으나, 2029년에 데이터센터 숫자가 100개 이상으로 증가하고 전력 수요는 2.37GW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최근 엔비디아의 GPU 공급량 증가 등을 감안하지 않은 수치로, 정부의 정책 목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
또한, 기후부는 제주·전남 및 부산 강서, 경기 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특구로 최종 선정했으며, 이 지역은 신재생에너지를 주요 전력원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산업 수요가 높은 울산, 포항, 서산과 같은 후보지는 제외되어, 에너지 특구 배제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울산은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7조원을 투자해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는 지역으로, 이곳의 에너지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결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소 목표와 AI 산업의 발전 간의 불일치는 향후 정책의 일관성과 실효성에 대한 큰 고민을 안겨 줄 전망이다. 데이터센터의 확장성과 전력 소모 문제는 향후 한국의 에너지 전략에서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부는 산업적 요구와 에너지 효율화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기간이 다가옴에 따라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