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비트코인(BTC)이 큰 폭의 조정을 겪으면서 반등 신호를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타났다. 비트코인은 가격 급락으로 인해 시장의 불안감이 커진 상황에서도 세 가지 중요 신호가 강세장 재개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이번 주 초, 비트코인의 가격은 한때 10만 달러(약 1억 원) 아래로 하락하며 6월 이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심리를 반영하는 ‘공포와 탐욕 지수’는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단계까지 떨어졌다. 낮은 수치의 공포와 탐욕 지수는 일반적으로 시장 바닥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과거 이와 유사한 지표 상황에서 비트코인은 곧 반등하였다.
또한, 거래소에 보유된 비트코인 수량이 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분석업체 크립토콴트(CryptoQuant)의 보고에 따르면, 11월 3일 기준으로 거래소에 보관된 비트코인의 수량은 약 238만 개에 불과하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 매도를 위해 자산을 거래소로 이동시키기보다는 장기 보유를 선호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매수세 유입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요소가 있다. 현재 비트코인의 상대강도지수(RSI)는 약 32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RSI가 30 이하일 경우 과매도 상태로 간주된다. 낮은 RSI 수치는 비트코인이 현 시점에서 가치를 초과해 하락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곧 반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0만 3,000달러(약 1억 3,483만 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조정이 새로운 상승장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이 주간 50일 이동 평균선에 근접해 있다는 점은 향후 추가 상승의 발판이 될 수 있는 요소로 분석된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정부의 장기 셧다운이 암호화폐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하지만 정부 운영이 재개될 경우, 시장 반전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 또한 놓치지 않고 있다. 과거 2019년 비슷한 셧다운 상황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했던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처럼 전반적인 지표와 극단에 가까워진 투자심리 속에서 비트코인이 반등세로 돌아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향후 며칠 간의 시장 흐름에 따라 비트코인의 다음 움직임이 명확히 가늠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