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스마트폰과 SNS가 불륜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어

[email protected]



인도네시아에서 이혼 건수가 연간 40만 건에 육박하며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종교부 장관이 스마트폰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외도와 부정행위를 촉진시킨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나사루딘 우마르 장관은 최근 발표를 통해, “휴대전화가 외도를 쉽게 유도하며, 경계를 하지 않으면 SNS의 노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디지털 환경이 인간관계의 신뢰를 뒤흔들고, 부부 간의 정서적 단절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 건수는 약 39만9000건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이 중 78%가 여성에 의해 제기된 이혼 소송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전문가들은 경제적 스트레스, 가정폭력, 종교적 규범의 약화와 함께 SNS를 통한 외도 및 부정행위가 결혼 붕괴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부터 혼전 상담 의무화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결혼 등록 전에 모든 예비부부가 가족관계, 재정관리, 종교적 가치관 등을 다루는 상담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혼인 서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목표는 부부 갈등을 예방하고 가정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제도만으로는 실질적인 변화가 기대하기 어렵다고 경고한다. 불륜, 조기혼, 가정폭력 등 볼 수 있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대응이 여전히 부족하고, 사회적, 경제적 안전망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우마르 장관은 “강한 가정이 강한 국가를 만든다”며 “결혼제도의 위기는 사회의 근본을 흔드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는 가정 유지를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에 맞는 윤리 교육과 체계적인 가족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일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이혼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심각한 이슈로,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해결 방안을 모색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문제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전문가들이 보다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가정의 안정성을 높여가기를 기대해 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