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적으로 하루에 소주 한 병 또는 500㎖ 맥주 2병을 마시는 사람은 출혈성 뇌졸중을 10년 이상 빨리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미국 하버드 의대 및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의 에디프 구롤 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내용으로,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학회(AAN) 저널 ‘신경학(Neurology)’에 게재되었다.
이 연구는 평균 연령 75세인 약 1600명의 뇌출혈 환자를 대상으로 음주량과 뇌출혈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매사추세츠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CT(컴퓨터 단층촬영)와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평가하며, 음주 패턴을 수집했다. 알코올 양을 기준으로, 하루 3잔 이상의 음주를 ‘과음’으로 정의했으며, 이는 대략 소주 3분의 2병 또는 와인 3잔에 해당한다. 이들 중 약 7%에 해당하는 104명이 과음자로 분류되었다.
과음자로 분류된 환자들의 평균 뇌출혈 발생 나이는 64세로, 이는 음주를 하지 않거나 하루 3잔 이하로 마시는 사람들의 평균 나이인 75세보다 11년이나 젊었다. 더불어, 과음자들의 뇌출혈 크기는 평균 70% 더 컸으며, 심부 뇌출혈이나 뇌실로의 출혈 발생 가능성은 약 2배 높았다. 이들은 또한 뇌 미세혈관 질환으로 인한 뇌 백질 손상 징후를 보일 확률이 3배 이상 높았다. 이는 하루 2잔 정도의 음주를 꾸준히 해도 뇌출혈 발생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롤 박사는 “과음 습관을 줄이면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뇌의 미세혈관 질환 진행도 늦출 수 있다”라며 “또한, 적정 음주량인 주당 3잔 이하로 줄일 경우 모든 형태의 뇌졸중을 예방하고 심혈관 건강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혈성 뇌졸중, 또는 뇌내출혈은 뇌 내부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연구에 따르면 이로 인한 사망률은 최대 50%에 달하며, 생존자는 중증 장애를 떠안거나 일상생활을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확률은 20%에 불과하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특히 고위험군이 금주와 같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뇌졸중 예방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과음이 가져오는 뇌 건강에 대한 심각한 경고로, 사회 전반에서 음주 문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렇기 때문에 올바른 음주 습관을 통하여 심각한 뇌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