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론(TRON)이 2025년 3분기 동안 사상 최고의 재무 성과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315억 달러와 네트워크 수익 12억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각각 전 분기 대비 19%와 30.5% 증가한 수치로, 지난 11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TRX 토큰의 유통량은 약간 감소했지만, 디플레이션 기조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성과가 단순한 시장 흐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생태계의 전략적인 확장 및 여러 인프라와의 통합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입니다.
특히, 메타마스크와의 통합은 사용자들이 트론 자산에 더 쉽게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으며, 체일링크와의 협력으로 디파이 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개발자들이 트론 블록체인 데이터를 인덱싱하고 쿼리하는 데 효율성을 제공하는 그래프 프로토콜과의 통합으로 더욱 다양한 디앱 유치가 기대됩니다. 디브리지와의 협력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간 자산 이동이 용이해지면서 상호운용성도 확보했습니다.
트론의 디파이 부문은 총 예치 자산(TVL) 규모가 전 분기 대비 34.1% 증가한 62억 달러로, 전체 블록체인 중에서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그러나 이 자산의 99%는 저스트랜드와 써니라는 두 개의 프로토콜에 집중돼 있어, 생태계의 다양성 부족과 특정 프로토콜에 의존하는 구조적인 취약점이 존재합니다.
스테이블 코인 시장에서도 트론의 역할은 두드러집니다. 전체 스테이블 코인 시가총액이 764억 달러로 감소했지만, 트론 네트워크 내 USDT의 영향력은 여전히 절대적입니다. USDT 시가총액이 약 757억 달러로 전체 스테이블 코인 시가총액의 99.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에서 발행된 USDT의 42.7%에 해당합니다. 최근에는 USDT의 실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어, 트론이 단순한 보관소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네트워크 활동성 역시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평균 거래 건수는 894만 건으로 증가했지만, 신규 주소 수는 다소 감소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위임 지분 증명(DPoS)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트론은 중앙화 우려가 있지만, 후보자 수의 증가와 투표의 분산을 통해 이러한 우려를 어느 정도 완화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트론은 스테이크 2.0이라는 개선된 스테이킹 메커니즘을 도입하며 스테이킹 비율을 47.1%로 유지하고 있으며, 연간 실질 스테이킹 수익률을 5.26%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네트워크 안정성을 강화하고, 경제 모델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결론적으로, 트론은 다양한 블록체인과의 통합을 통해 생태계를 다각도로 확장하고 있으며, USDT 전송 허브로서의 강력한 입지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더 많은 사용자와 투자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