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바이누(SHIB)의 하루 매도량이 10억 개를 초과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격 하락 압력이 심화되고 있다. 단 24시간 만에 주요 거래소에서 대규모 매도가 발생하였고,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 우려를 불러 일으키며 시장 심리를 더욱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시바이누는 가격 하락으로 인해 주요 지지선인 0.000010달러(약 0.013원) 아래로 떨어졌다. 현재 상대강도지수(RSI)는 34.47로 과매도 영역에 근접해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바닥 신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아직 저점을 확신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편, 미국의 금융 자산 운용사인 프랭클린템플턴은 XRP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위해 제출한 S-1 문서를 업데이트하여 시장의 기대감을 증대시키고 있다. 프랭클린템플턴은 약 1조 5,000억 달러(약 2,073조 원)의 자산을 관리하는 대형 기관으로, 이번 개정안에 포함된 증권법 8(a) 조항의 축약 문구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과 가깝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이 업데이트는 앞서 캐너리캐피털과 비트와이즈의 문서 개정에 이은 조치로, XRP 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
도지코인(DOGE) 시장 역시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도지코인의 선물 거래량이 전날 대비 무려 9,616% 폭증하며 1억 7,200만 달러(약 2,380억 원)에 달했다. 대부분의 거래는 비트멕스 거래소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는 일시적인 투기 수요가 몰렸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약 17억 달러(약 2조 3,510억 원)의 규모로 청산이 발생했으며, 도지코인의 롱 포지션에서만 약 1,692만 달러(약 234억 원)의 손실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바이누의 급락에 이어 XRP ETF에 대한 승인 기대감과 도지코인의 파생상품 급등은 서로 다른 암호화폐들이 각각의 이슈로 인해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동성과 유동성 중심의 단기 대응에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규제 방향성과 기관 자금 흐름에 보다 주의 깊은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시장 상황에서 보다 신중한 판단을 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