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가 한화오션과 그 자회사에 부과된 제재와 관련하여 명확한 철회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최근 미중 간의 무역 합의가 이루어진 점을 부각시키며 철회 가능성을 내비쳤다. 지난 6일 허야둥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마이크론사의 판매 금지와 한화오션 산하 5개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포함시킨 조치를 중단할 가능성에 대해 질문을 받고, 중미 쿠알라룸푸르 협상에서의 주요 성과와 합의 사항을 소개했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에는 펜타닐 관세, 법 집행 협력, 농산품 무역과 함께 미국의 중국 해운 및 물류, 조선업에 대한 무역법 301조 조치가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미중 간의 무역 갈등 해소를 위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이어 “중미 양국은 관세 조정에 대해 공식 문서를 발표했으며, 중국은 미국과의 협력 의지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한화오션 제재 철회에 대한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
중국은 지난달 14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중국 기업과의 거래 금지 목록에 올린바 있다. 이들 기업에는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조사에 응했다는 이유로 발생한 조치이다.
한편, 미중 정상간의 회의에서는 무역 전쟁의 확전을 자제하기로 합의했고, 미국은 ‘무역법 301조’ 조사를 근거로 중국 해운, 물류, 조선 산업에 대한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미국 백악관은 최근 미중 정상 간의 무역 합의 내용을 담은 팩트 시트를 공개하였으며, 중국은 미국의 조사에 대해 보복 조치로 시행했던 여러 가지 제재를 철회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한화오션에 대한 제재 문제 또한 미중 정상회담 이후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이번 발언과 조치는 미중 간의 상호 협력 및 신뢰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한화오션에 대한 제재가 철회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와 한국 기업의 대중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