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들이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고평가 우려가 지속되고, 미국 기업들이 22년 만에 최대 규모의 감원에 나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것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기술주 조정은 가상화폐와 중소형주 등 더욱 위험한 자산으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6일(현지시간)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98.70포인트(0.84%) 하락한 46,912.30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75.97포인트(1.12%) 내린 6,720.3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45.80포인트(1.90%) 급락한 23,053.99로 장을 닫았다. 이로써 이번 주 다우지수는 1.4%, S&P500은 1.8%, 나스닥은 2.8% 각각 하락한 상황이다.
AI 관련 주식의 고평가 우려는 과거 몇 주간 더 뚜렷해지고 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최근 몇 주 동안 시장에서 AI 관련 투자 열기가 식고 있다는 신호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수년간 이어진 폭등세 이후 ‘너무 빠르게, 너무 멀리 올라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퀄컴은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향후 애플과의 거래 단절 가능성이 부각되며 4% 가까이 하락했다. 전날 견조한 성과를 보였던 AMD는 7% 급락했고, 오라클은 3% 떨어졌다. AI 대표주인 엔비디아와 메타플랫폼스도 마찬가지로 동반 약세를 기록했다.
FBB 캐피털 파트너스의 마이크 무시오 대표는 “AI 관련 종목들의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높아져 사실상 ‘완벽한 실적’을 전제로 주가가 형성되고 있다”며 “매출이 선방하더라도 영업이익 전망이 부진할 경우 주가가 급락하는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팔란티어 또한 이날 6.8% 급락하며 이 주에만 12% 넘게 하락했다. 팔란티어의 3분기 매출이 11억8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 10억9000만 달러를 웃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8% 급락했다. 유명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팔란티어와 엔비디아에 대해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다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하면서, 그는 두어 년 만에 처음으로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우리는 때때로 거품을 본다. 그러나 어떤 때는 아예 게임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유일한 승리의 길”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추가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데이비드 솔로몬 회장은 “앞으로 12~24개월 안에 주식시장이 10~20% 조정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고, 모건스탠리의 테드 픽 CEO도 “10~15% 조정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꼭 거시경제 충격이 아니더라도 발생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
경기 민감주와 위험자산도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급등했던 비트코인은 3% 가까이 하락했으며,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지수도 1.6% 내렸다. 하지만 헬스케어주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머크와 화이자는 소폭 상승세를 보였고,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에 합의한 일라이 릴리는 1%대 상승을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