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비트코인(BTC) 고래들이 24시간 동안 1만 BTC를 새롭게 매수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매수는 비트코인이 주요 지지선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가격 변화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온체인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의 분석에 따르면, 대형 지갑을 보유한 개인들이 최근 한 달간의 매도세에서 물러나 다시 매수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들 지갑은 하루 동안 총 1만 BTC(약 1,000억 원)를 추가로 확보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일주일 사이 약 7% 하락하여 10만 2,000달러(약 1억 200만 원)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거래량은 약 700억 달러(약 70조 원)로 급증했다. 아울러 거래소로 비트코인을 이동시키는 고래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거래소 고래 비율(Exchange Whale Ratio)’은 현재 0.40~0.45로 내려갔으며, 이 수치는 지난 한 달간의 최저치로 기록되었다. 마르티네즈는 이러한 현상을 통해 고래들이 비트코인을 거래소에 보관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규모 매도보다는 보유 또는 분할 매수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단기 보유자의 실현 손익률이 현재 -11.16%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수치는 과거 -12% 아래로 하락했을 때 비트코인이 반등했던 이력을 갖고 있다. 마르티네즈는 “지난 2년간 -12%를 이탈한 경우마다 비트코인이 반등했다”며 향후 가격 반전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술적 지표에서도 비트코인이 지지선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현재 가격은 50주 지수이동평균선(EMA)에 도달하였으며, 상대강도지수(RSI)는 약 44.5를 기록하고 있다. 이 구간에서 비트코인은 과거에도 반등한 전례가 있어 투자자들이 매수 타이밍을 저울질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의 가격 구조가 이미 약세로 전환되었다고 보고 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 크립토 파텔은 “비트코인은 하락 구조에 돌입하였고, 다음 지지 가격은 약 8만 3,610달러(약 8,361만 원)”라고 신중한 의견을 내비쳤다.
크립토포테이토는 “비트코인이 50주 단순이동평균선(SMA)을 하방 이탈할 경우 더 큰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글로벌 유동성 축소 역시 현재의 약세를 강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분석가 다안 크립토 트레이드는 “글로벌 유동성이 확대될 때까지 암호화폐 시장에 유리한 환경은 제약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불어 아시아, 유럽, 미국 전역에서의 매도세가 비트코인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분석가 테드는 “전세계적으로 현물 매수세가 회복되지 않으면 반등이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하며 현재 상황을 진단하였다.
현재 비트코인은 여러 장기 추세선을 하회하고 있으며, 주간 마감 가격에서도 하방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고래들의 매집 움직임이 진정한 반등의 신호탄이 될지, 아니면 단기적인 착시 현상으로 끝날지는 시장의 반응에 따라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