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곰 피해 급증 원인에 대한 고찰…지방소멸 현상과의 연관성

[email protected]



일본에서 곰의 인명 피해가 역대 최다치에 도달하며 사회적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1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곰으로 인한 사망자가 12명에 달하는 등 심각한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피해 증가의 원인으로 ‘지방소멸’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지방소멸이란 도시로의 인구 집중으로 시골 지역의 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로, 이는 곰의 서식 환경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본의 유일한 곰 서식지는 혼슈, 홋카이도, 시코쿠 지역이며, 곰의 개체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불곰의 경우 1990년대 이후 30년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이렇게 늘어난 곰들은 점점 도시와 인근 마을로 내려오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인명 피해도 동반하고 있다. 곰의 공격은 가벼운 부상에서부터 생명에 위협을 주는 상황까지 다양하다. 특히 머리에 물리거나 할퀴는 사고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곰의 출몰이 증가함에 따라 일본 내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학교와 편의점에서는 곰 퇴치 스프레이를 배치하여 사전 대응을 강화하고 있으며, 아키타 현에서는 자위대의 파견 요청도 검토되고 있다. 식품업계에서도 자동문 전환 및 저주파 발생 장치를 설치해 곰의 접근을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궁극적으로 곰과 사람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곰 피해 증가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던 것은 바로 ‘지방소멸’이다. 시골 지역에 거주하던 사람들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농경지는 방치되고,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도심 가까이로 확장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과거에는 사람과 야생동물 간의 경계가 있었으나, 이제는 그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곰들이 사람의 음식물 쓰레기나 방치된 과일 등을 접하는 기회를 늘림으로써,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일본은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를 겪고 있는 나라로, 이 문제가 곰과 인간의 접촉을 더욱 빈번하게 만들어 지금의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다른 나라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우리나라 역시 지방소멸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곰 피해 문제는 단순히 동물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와 인구 이동이 서로 얽혀 있는 복합적인 이슈임을 인식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