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약세 심화, ETF 기대에도 추가 하락 우려

[email protected]



리플(XRP) 가격이 최근 일시적인 반등을 보였지만 현재 2.30달러 아래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고래 투자자들과 장기 보유자들이 매도에 나서면서 추가 하락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는 리플 보유자들의 이익 실현 패턴에서 중대한 변화가 감지되었다고 분석했다. 과거 강세장에서 이익 실현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가격 하락과 함께 매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9월 말 리플 가격이 3.09달러에서 2.30달러로 하락하는 동안 7일 평균 이익 실현 규모는 하루 6,500만 달러에서 2억 2,000만 달러로 약 240% 증가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상승기가 아닌 약세장에서 매도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런 비정상적인 판매 흐름은 약세장에서의 매도세가 강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지난 7월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을 때와 1월 3.40달러로 급등했을 당시에는 상승세 속에서 매도가 이루어졌으나, 최근의 경우에는 가격이 하락하면서 대규모 매도가 발생하고 있다.

고래 투자자들의 행동도 매도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최근 48시간 동안 약 50만 XRP가 시장에 대방출되면서 부정적인 압력이 더욱 증대하였다. 특히 이들 투자자들은 리플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으로 ‘루머에 사서 뉴스에 판다(buy the rumor, sell the news)’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최근 S-1 문서에 따르면, 여러 기업들이 ‘지연 조항’을 삭제하여 리플 기반 ETF가 심의 반대가 없을 경우 20일 내에 즉시 상장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캐너리캐피털(Canary Capital)이 제출한 ETF는 이르면 11월 13일에 출시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ETF 관련 뉴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플의 가격 흐름은 저조하다. 이는 시장이 이미 기대치를 반영했으며, 투자자들이 ETF 승인 이후 차익을 실현하겠다는 전략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리플 시장은 현재 기술적 반등 여력보다 매도세로 인한 심리적 부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ETF에 대한 기대감에도 리플의 가격 흐름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조만간 추가적인 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고래 투자자들의 향후 행동이 단기 시장 방향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