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첫 주를 맞이하며 암호화폐 시장은 극심한 매도세와 거래소 탈출 조짐으로 긴장 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비트코인(BTC), 리플(XRP), 시바이누(SHIB) 세 종목 모두 온체인 지표에서 활발한 이익 실현과 대규모 자산 이동이 목격되었다. 특히 XRP는 약세장 속에도 불구하고 240%에 달하는 대규모 수익 실현이 이루어지면서 강한 매물 출회를 나타내고 있다.
온체인 분석 업체인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XRP의 일일 실현 수익은 6,500만 달러(약 877억 원)에서 2억 2,000만 달러(약 2,970억 원)로 급증했다. 이는 XRP 가격이 25% 하락하여 2.30달러(약 3,108원)로 떨어진 상황에서도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단기 조정 이후 중간 사이클 조정이 시작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시바이누(SHIB)에서는 한 익명의 고래가 바이낸스로부터 무려 738억 8,000만 개의 SHIB을 한 번에 인출하여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해당 자산의 규모는 약 72만 1,800달러(약 9억 7,846만 원)로, 수령 지갑에는 현재 1억 7,160만 개의 SHIB과 소량의 이더리움이 보관 중이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는 이 주소로 지난 두 달간 지속적으로 SHIB가 유입되었고, 최근 레버리지 강제 청산으로 약 400억 달러(약 53조 9,200억 원)의 포지션 손실이 발생한 직후 매집이 가속화되었다고 밝혔다. 또, 해당 고래의 매수 목적이 거래소 유동성 축소인지 아니면 전략적 보유인지에 대한 해석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비트코인 관련해서는, 사토시 시대부터 보유 중이던 장기 투자자인 오웬 군덴(Owen Gunden)이 총 1억 1,000만 달러(약 1조 4,850억 원)에 해당하는 보유량을 최근 모두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3,549 BTC는 3억 6,184만 달러(약 4,889억 원) 규모로, 미국 거래소 크라켄으로 직접 송금되었다. 이 물량은 하루 비트코인 현물 거래량의 1%를 넘는 수치로, 현재 차트에서는 10만 달러(약 1억 3,500만 원)의 지지선이 위협받고 있어 추가적인 하락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0만 1,600달러(약 1억 3,716만 원)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요한 지지선인 9만 9,000달러(약 1억 3,365만 원)를 벗어날 경우 급격한 청산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어야 할 상황이다. XRP는 2.26달러(약 3,053원)에서 지지선을 다지고 있으나, 2.50달러(약 3,380원)를 넘지 못할 경우 하락세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SHIB 역시 0.0000097달러(약 0.0131원)에서 횡보 중이지만, 0.000011달러(약 0.0149원)를 회복하지 못하면 하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 관점에서도 11월 12일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14일 공개될 연방준비제도의 회의록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연말로 접어드는 요즘, 거시 경제 환경과 온체인 흐름이 암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