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비트코인(BTC)의 고래 투자자들이 장기 보유해온 비트코인을 매도하고 상장지수펀드(ETF)로 자산을 전환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 대형 보유자들은 수익 실현을 목표로 하면서 동시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마틴 히스보에크 업홀드 리서치 총괄은 “정기적으로 비트코인을 보유해온 투자자들이 ETF를 통한 재매수를 고려하면서 매도에 나서고 있다. 미국의 규제 환경하에서는 ETF가 상당한 세금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는 이어 많은 초기 거래자들이 비트코인 그 자체보다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진정한 혁신을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블록체인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비트코인을 초월하는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고래 투자자들의 온체인 활동에서도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룩온체인의 데이터에 따르면, 초기 차익 거래자로 알려진 오웬 군덴은 소유하고 있던 1만 1,000개의 비트코인 중 3,549개를 최근 거래소로 이체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와 유사한 다른 비트코인 매각 사례도 늘어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매도 움직임이 단순한 투매가 아니라 장기적인 투자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하고 있다. ETF를 활용하면 기대 이상의 세금 회피가 가능하고, 이더리움(ETH)이나 폴리곤(MATIC) 같은 다른 자산으로의 전환도 시도되면서 수익률 극대화의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ETF의 승인 이후, 비트코인 시장은 고래 매도와 함께 기관 투자자의 매수 세력이 맞물리며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다. 앞으로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로의 자산 이동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져,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 생태계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