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군의 지원병 충원율이 최근 3년 반 동안 약 30%포인트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과 대만 간의 군사적 긴장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만의 국방력이 위협받고 있다는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만 입법원 예산센터가 공개한 ‘2026년도 총예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원병 사병의 현원 비율은 2021년 말 91.84%에서 올해 6월 말 63.35%로 감소했다.
제1선 전투 부대의 지원병 충원율은 현재 75.58%로 떨어져 국방부가 설정한 최저선인 8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모집한 지원병 중 약 25%인 1만2884명이 최소 복무 기간인 4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대만 군의 전투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중화미래전략협회 제중 연구원은 이러한 지원병 충원율의 급격한 감소를 “충격적인 절벽식 감소”라고 표현하며, 일선 부대에서 인력 부족이 고강도의 빈번한 훈련 부담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만 매체들은 저출산으로 인한 사회적 인력 부족이 지원병 규모의 감소를 촉발하고 있으며,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신무기 전문 조작 인력의 육성 및 장기적인 운용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공산당에 패배한 후 대만에서는 징병제가 시행되었고, 남성들은 2~3년간 의무적으로 군 복무를 해야 했다. 그러나 2008년에는 복무 기간이 1년으로 줄어들었고, 2013년부터는 4개월의 훈련만 의무화되었다. 이때부터 대만은 전면적인 지원병 제도로 전환해 현재 대다수의 군대가 지원병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의무 복무생들은 보조적 역할로 제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만 군의 인력 충원 문제는 국가 안보와 군사적 준비태세를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만 정부는 이러한 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특히 저출산으로 인해 초래된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히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