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한국 시장 진출 본격화 – 규제 공백 속 M&A 활발

[email protected]



최근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승인 이후, 2위 거래소인 바이비트가 코빗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한국은 리테일 투자 잠재력이 높고, 원화 기반 거래의 특수성을 지녀 글로벌 거래소들에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때 원화(KRW) 마켓의 거래량이 달러를 넘어서는 등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세계 2위로 자리 잡은 바 있다.

한국 시장의 이러한 인기는 금융당국의 인수합병(M&A) 관련 결정이 기폭제가 되었다. 특히 바이낸스의 고팍스 임원 변경 승인 이후 많은 글로벌 거래소들이 국내 중소형 거래소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원화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코인원이나 코빗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어 해외 사업자들에게 매력적인 인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은 입법 공백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지난해 7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시행되었지만, 가상자산 거래소의 규제나 운영에 대한 상세한 법적 기준은 여전히 미비한 상태다. 2단계 입법이 지연되고 있어 가상자산의 발행, 상장, 거래소 규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해외 자본이 시장에 쉽게 침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국내 금융사들은 규제 장벽과 금가 분리에 의해 가상자산 시장에 진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존 금융사들은 새로운 기회를 잃고 ‘강 건너 불구경’하는 모습이다. 해외의 사례와 비교했을 때, 국내 VASP의 수익 구조는 대부분 거래 수익에 의존하고 있어 사업의 다각화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국내 시장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금융사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진출하도록 허용하며, 동시에 해외 거래소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은 지속적인 위기를 맞이할 것으로 우려된다. 규제가 미비한 상황에서 글로벌 공룡들이 가속적으로 M&A를 진행함으로써 한국의 토종 생태계가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