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RP가 트럼프 대통령의 경기 부양책 발표 이후 12% 급등하여 현재 2.53달러(약 340만 원)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상승 세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 움직임이 가시화됨에 따라, 추가적인 상승세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지난 월요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들에게 2,000달러(약 270만 원)의 현금 지원을 포함한 부양책을 발표했다. 이 소식은 XRP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급격한 가격 상승을 이끌어냈다. 다만, 이 같은 상승세가 단기간 내 3달러(약 400만 원) 돌파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온체인 분석업체인 글래스노드는 최근 155일 이상 XRP를 보유한 장기 투자자들이 매도에 나섰다고 밝히며, 이들은 과거 가격 상승에 따라 수익을 실현해 왔지만, 최근에는 약세장에서 분산된 매도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차익 실현 규모는 9월 말 하루 평균 6,500만 달러(약 880억 원)에서 2억 2,000만 달러(약 2,970억 원)로 무려 240% 급증했으며, 이는 시장의 매도세가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와 함께 XRP 가격은 지난 고점인 3.09달러(약 417만 원)에서 최근 저점인 2.30달러(약 310만 원)까지 약 25% 하락했다. 이는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강한 매도세가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도 XRP는 2.60~2.80달러(약 350만~380만 원) 구간에서 강한 저항선을 형성하고 있어, 이 구간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 재차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대통령의 부양책 발표는 단기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이미 실현된 수익이 시장의 회복세를 억누를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앞으로 XRP가 심리적 저항선을 극복하고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 참여자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