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한국 증시에서 삼성, SK, 현대차, LG, HD현대 등 5대 그룹의 시가총액 비중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대형주 집중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11일 리더스인덱스의 자료에 따르면,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속한 상장사 368곳의 시가총액은 올해 1월 2일 1661조7387억원에서 이달 3일 3030조5177억원으로 82.4%(약 1369조원)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국내 전체 증시의 시가총액도 2310조9938억원에서 3963조1134억원으로 71.5% 증가했으며, 5대 그룹의 시가총액 비중은 45.9%에서 52.2%로 상승하며 이들은 시장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업종의 슈퍼사이클 영향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삼성과 SK의 시가총액 비중은 전체 시장의 40%에 육박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삼성은 17개 상장사의 합산 시가총액이 503조7408억원에서 943조4862억원으로 87.3% 증가하였으며, 전체 시장 내 비중도 21.8%에서 23.8%로 상승했다. SK그룹 역시 21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이 200조3384억원에서 572조3577억원으로 185.7% 증가하여 시장 비중은 8.7%에서 14.4%로 5.8%포인트 상승했다.
상위 5대 그룹 중에서는 LG와 현대차의 순위가 뒤바뀌며 LG는 4위로, 현대차는 3위로 각각 전환되었다. 이와 더불어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와 지주사 두산의 주가 상승세에 힘입어 7개 상장 계열사의 시가총액이 26조1936억원에서 90조94억원으로 243.6% 증가하며 12위에서 7위로 상승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처럼 긍정적인 시장 흐름 속에서 산업별 경기 회복 양상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조선, 방산, 원전 등의 계열사를 보유한 그룹들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리더스인덱스는“산업마다 경기 흐름의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반도체 쪽의 성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여기에 따라 대형주의 집중 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최근 한국 증시는 반도체 중심으로 예외적으로 높은 투자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5대 그룹의 위상 강화와 함께 국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