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기준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ZEC, XRP, UNI와 같은 강세 종목으로 자금이 집중 유입되고 있는 반면, SOL과 XRP 등에서는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하며 강세와 약세 종목 간의 자금 이동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크립토미터의 집계에 따르면, 미국 달러(USD) 기반 자금은 총 3700만 달러 규모로 UNI에 1400만 달러, BTC에 640만 달러, ZEC에 550만 달러, ETH에 310만 달러가 유입됐으며 일부 자금은 XLM과 STRK 등으로 분산되었다. 유로화(EUR) 자금은 총 2520만 달러가 흐르며 BTC에 1580만 달러, ETH에 560만 달러, SOL에 280만 달러, USDT에 100만 달러가 집중되었다. 한국 원화(KRW) 자금은 1490만 달러가 투자되었으며 이 중 XRP에 1170만 달러, UNI에 190만 달러가 분산됐다. 일본 엔화(JPY)에서는 1150만 달러가 BTC에 1010만 달러, ETH에 140만 달러로 들어왔다.
특히 테더(USDT) 기반의 자금은 총 1억2340만 달러가 이동하며 ZEC에 2930만 달러, TRUMP에 2620만 달러, UNI에 1440만 달러 등의 자금이 집중됐다. 이 외에도 FDUSD와 TRX에도 각각 1360만 달러, 1120만 달러가 유입되었으며 자금 일부는 BETH, XMR, XLM, STRK, SHIB, TRUST 등으로 분산됐다. USDC에서도 4180만 달러가 XRP, ETH, SOL, UNI, TRUMP로 이동하여 전반적인 자금 흐름이 더욱 활발함을 나타냈다.
반면 암호화폐 시장의 자금 유출 흐름 또한 명확하다. SOL에서는 6130만 달러가 유출되어 USDT에 5190만 달러, 원화에 520만 달러, FDUSD에 420만 달러가 분산되었다. XRP도 6060만 달러가 유출되어 USDT에 4520만 달러, FDUSD에 1180만 달러, 달러화에 370만 달러가 할당됐다. COMMON, SYND, USDE, WLFI 등 여러 알트코인에서도 자금 유출이 확인되면서 전체 시장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이날 USDC에서 2억3220만 달러가 USDT와 EUR 등으로 이동하며, 상당량의 자금이 USDT로 결집하여 총 7억2660만 달러가 모였다. 이 중 일부는 USD로 전환되기도 했다. BTC에서는 2억2180만 달러가 유출되어 USDT에 1억5840만 달러, USDC에 3120만 달러, FDUSD에 2620만 달러가 분산되었으며, ETH에서도 1억590만 달러가 유출되어 상당량이 USDT에 쏠려 흐르기도 했다. FDUSD에서는 4970만 달러가 유출되며 이 역시 일부가 USDC로 전환됐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강세와 약세 종목 간 자금 흐름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투자자들의 전략적인 매수, 매도 결정을 나타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