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왑(UNI), 1억 개 토큰 소각 계획 발표 후 38% 가격 상승

[email protected]



유니스왑(UNI) 재단과 유니스왑랩스가 새로운 거버넌스 제안을 발표하면서 유니스왑 토큰(UNI)의 가격이 하루 만에 38% 이상 급등했다. 이 제안은 토큰 보유자들에게 유인책을 제공하고 유니스왑 프로토콜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을 담고 있다.

이번 제안의 핵심은 ‘유니피케이션(UNIfication)’으로 명명된 메커니즘이다. 이는 프로토콜 차원에서 수수료를 징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약 1억 개의 UNI를 소각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현재 유통 중인 UNI 토큰의 약 16%에 해당하는 이 규모는 시장에 출회되는 토큰의 수를 크게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처럼 공급이 제한됨에 따라 수요-공급 원칙에 따라 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유니스왑의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망인 ‘유니체인(Unichain)’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도 이와 같은 소각 메커니즘에 포함된다. 유니체인은 지난 9개월 동안 연환산 기준 750만 달러의 수수료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니스왑 재단은 “이번 제안이 유니스왑을 토큰화된 가치의 기본 탈중앙화 거래소로 재정립할 것”이라며 긍정적인 의지를 드러냈다.

이러한 발표는 시장에서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켰다. 제안 발표 직후, UNI의 가격은 38.5% 상승하여 9.70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최근 비트코인(BTC), 바이낸스코인(BNB), 솔라나(SOL) 등 주요 암호화폐와 비교해 부진했던 흐름을 단번에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제안은 단순히 단기적인 가격 상승을 넘어, 유니스왑의 프로토콜 전반에 걸쳐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거버넌스와 수익 모델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번 접근법은 디파이 플랫폼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유니스왑의 이 같은 조치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디지털 자산 생태계 내에서의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이 제안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