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투자 매력도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분석가들은 최근의 저조한 변동성이 향후 반등의 전조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의 가격은 미국 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지속하며 한때 10만 5,000달러(약 1억 3,650만 원) 아래로 떨어졌다. 이와 함께 ‘위험 대비 보상 비율(Risk-Reward Ratio)’ 역시 급격히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가 조아오 웨드슨은 시장의 속성을 살펴보며, 샤프 비율과 정규화 위험 지표가 동시에 하락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하락은 비트코인이 지난 1년간 보여준 부진한 수익률과 더불어 기관 투자자들의 신중한 태도로 인해 수요가 둔화된 점에서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역사적으로 저조한 시장 신뢰 속에서도 갑작스러운 반등이 발생한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 상승 사이클의 강세 구간은 이미 지났지만 향후 급격한 상승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또한 통계적으로 내년에는 조정 기간이 도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시장 분석 플랫폼 스위스블록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주요 지지선을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있으며 현재는 ‘핵심 통합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들은 비트코인이 현재 가격 구조를 유지하며 10만 8,000~11만 달러(약 1억 4,040만~1억 4,300만 원) 범위를 회복할 경우, 상승 모멘텀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매도 압력이 감소하고 있어 매수세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매도량도 감소 추세에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의 자료에 따르면, 채굴자들이 거래소로 전송하는 비트코인의 양이 10월 말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단기적인 매도 공급 압력이 낮아졌음을 시사하며, 향후 상승장이 준비되고 있는 신호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에도 채굴자 매도 감소는 종종 ‘축적 구간’ 또는 반등 랠리의 전조로 평가되어 왔다.
현재 채굴자들이 매도하는 규모는 올해 4~6월 증가세를 보였던 시점보다 현저히 낮아, 장기적인 가격 상승 여력을 보고 있는 만큼 향후 회복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리스크와 리워드 지표의 약화 및 가격의 정체 속에서도 시장 내부에서는 상승을 위한 몇 가지 조건이 성숙하고 있는 상황이다.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높은 변동성 구간이 지속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재도약을 노릴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