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빅 쇼트’의 실제 인물로 알려진 공매도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일부 대형 정보기술 기업들이 회계상 이익을 부풀리기 위해 감가상각비를 인위적으로 줄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경제 매체 CNBC의 보도에 따르면, 버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인공지능(AI) 인프라 제공 업체들이 실질적인 감가상각 비용을 축소하는 관행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자산의 내용연수를 연장하여 감가상각을 과소계상하는 것은 수익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는 흔한 사기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의 대규모 자본 지출이 컴퓨팅 장비의 유효 수명 연장으로 이어지지 않아야 하며, 이는 하이퍼스케일러들이 채택하고 있는 비윤리적인 방식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버리는 이 같은 방식으로 인해 하이퍼스케일러들이 2026년부터 2028년 사이에 약 1760억 달러를 감가상각비를 과소 계상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오라클과 메타(구 페이스북)를 겨냥하여, 이들 기업의 이익이 각각 2028년까지 27%와 21% 과대계상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업이 자산의 내용연수를 길게 설정하면 연간 감가상각비가 감소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이익을 증가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
마이클 버리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를 예견한 인물로 현재는 AI 열풍이 1990년대의 닷컴 버블과 유사하다는 ‘AI 거품론’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에 버리가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다는 소식은 최근 빅테크와 AI 기업 주가의 급락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오는 25일 소셜미디어 게시를 통해 이 주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밝힐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의 주장이 실제로 실현될 경우, 빅테크 기업들의 회계 처리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이 문제에 대한 타당성과 결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 만큼, 마이클 버리의 발표는 경제 전반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