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자산 관리업체인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미국 증시에 상장을 위한 IPO 진행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43일간 지속된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을 종료하는 예산안에 서명한 날에 발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레이스케일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 등록 서류인 Form S-1을 제출했으며, 뉴욕증권거래소에서는 ‘GRAY’라는 종목 코드로 클래스 A 보통주를 상장할 계획이다. 공모가는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 ETF와 이더리움 트러스트 ETF의 투자자들을 위한 ‘지정 주식 프로그램’을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이번 IPO 절차는 아직 효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SEC의 승인 이력에 따르면 상장 승인 과정은 수 주에서 수 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그레이스케일은 지난 4개월 전 비공식적으로 제출한 IPO 문서에 이어 공식적으로 이 절차를 밟게 되었다. 회사는 2025년 9월 기준으로 순이익이 약 2억 3,300만 달러(약 2,33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000만 달러(약 200억 원) 감소한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이번 발표는 SEC가 43일간의 연방정부 셧다운 이후 정상 운영을 재개한 첫날에 이루어졌다. 셧다운 동안에도 기업들은 서류를 제출할 수 있었지만, SEC 인력이 제한적이었던 탓에 IPO나 ETF 승인 절차는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었다.
한편, 싱가포르의 금융당국은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통해 시장 정리에 나섰다. 싱가포르통화청(MAS)의 치아 더 지운(Chia Der Jiun) 국장은 핀테크 페스티벌의 기조연설에서 규제되지 않은 스테이블코인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고정 가치 유지를 제대로 하지 못한 사례가 많다고 경고하였다. 그는 2008년 머니마켓펀드 붕괴와 유사한 ‘디페깅 리스크’를 지적하며, 법적 근거와 준비금 보장이 있는 토큰만을 결제 자산으로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치아 국장은 앞으로의 디지털 화폐 시대에는 속도와 유연성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신뢰할 수 있는 준비금과 환급권을 갖춘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서명한 예산안은 연방 정부의 셧다운 종료를 이끌며, 미국 역사상 최장 기간인 43일의 셧다운을 마감했다. 해당 법안은 2026년 1월 30일까지 정부 운영 자금을 지원하며, 여야는 이 기간 동안 2026년 예산안에 대한 추가 협의를 계속할 예정이다.
그레이스케일의 상장 추진과 싱가포르의 규제 강화, 미국 정부의 정상화는 암호화폐 산업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SEC의 IPO 검토 재개와 아시아 지역의 규제 방향이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접근성과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