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가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협력과 기술 진흥을 강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월 14일 서울에서 개최한 두 가지 행사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내 인터넷 기업을 격려하는 시상식과 블록체인 산업의 해외 진출을 도모하는 정례 회의가 열렸다.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시상식은 한국 인터넷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기업과 개인을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올해 20주년을 맞은 이 시상식에서는 포시에스가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포시에스는 인공지능 기반의 클라우드 전자문서 플랫폼을 실용화함으로써,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디지털 업무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또한, 디지털 혁신상은 서울 로보틱스와 라온시큐어의 박현우 상무에게 주어졌으며, 이들은 각각 자율주행 기술 국산화와 양자암호 등 차세대 보안 기술 개발에 기여한 바가 크다.
더불어 같은 날 열린 ‘2025년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에이블)’ 2차 정례회의에서는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기반 조성에 주목했다. 두바이 상공회의소, 주한 싱가포르 상공회의소,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서울 지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국제적인 협업 가능성을 탐색했다. 회의에서는 IBM의 김민성 상무가 AI와 블록체인 결합의 산업 활용 가능성을 발표했으며, 장형규 네이버페이 매니저는 스테이블코인과 그 기술 동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 두 행사는 디지털 기술을 단순한 산업 도구로 한정하지 않고, 국가 경쟁력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잘 보여준다. 더욱이, 시상식과 정례 회의의 병행 개최는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산업 간 협업을 이루려는 실용적 조치로 해석된다. 정부는 산업계, 학계, 국제기관 간의 협력 통로를 확대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AI와 블록체인 분야에서 향후 정책적 지원 및 규제 정비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기술 상용화 및 글로벌 확장을 동시에 이루려는 목표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의 ICT 산업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들은 대한민국의 디지털 기술 혁신의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